728x90
반응형

 

 

▶변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공간).

▷ var나 let으로 변수를 선언할 수 있음.

▷ var는 구 방식으로 현재는 var 보다 let을 주로 사용함.

 

 

 

-  저장한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음.

 

▷ 변수는 재선언이 가능함.

▷ 재선언 시 이전 값은 표시되지 않고 재선언한 값이 표시됨.

 

 

 

- 데이터를 추가할 수도 있음.

▷ 변수는 연산자를 이용해서 연산이 가능하며, 연산된 값이 출력됨.

▷ +연산자를 변수(숫자)에 사용하면 더해진 값이 결과로 출력되고, 문자에 사용하면 두 값이 연결 되어[각주:1] 결과에 출력됨.

 

 

 

 

 

▶상수

-변수와 똑같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공간

-그러나 변경은 불가능

▷ 상수는 var나 let이 아니라 const를 사용하여 선언함.

▷ const를 사용하여 선언하였을 경우 재선언 하였을 때 값이 바뀌어서 출력되지 않고

라는 경고문구가 출력됨.

 

 

 

 

 

▶배열

-여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음

-소괄호 ( )가 아니라 대괄호 [ ]를 사용함

-배열의 선언은 arr, Array로 함.

▷ 변수나 상수와 달리 변수만 쓰는 것이 아니라 arr [ ]를 같이 작성해야만 값이 출력됨.

▷ 배열의 키값은 0부터 시작함.

 

 

-  new Array( ); 선언을 빼고 arr만 작성하여 배열을 선언할 수도 있음.

 

 

-아예 new Array 선언을 빼고 arr 만으로도 선언할 수 있음.

 

-반복되는 arr 선언을 줄여 한 줄로 선언하는 것도 가능함.

 

 

 

 

 

▶객체

-데이터 뿐 아니라 그 속성(키와 값)까지 저장

-배열의 특징도 같이 가지고 있음.

-객체의 선언은 Object로 함.

-데이터를 식별하여 가져오는 것도 가능

 

 

 

-데이터의 키와 값을 직접 지정할 수 있음

▷ 배열처럼 지정된 [0], [1], [2]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키값을 직접 지정할 수 있음.

▷ a, b, c로 키값을 지정해준 것.

 

 

 

-{ } 중괄호로 표시

▷ 선언이 반복되는 것을 줄여 { } 중괄호 안에 한 줄로 만들 수 있음.

 

 

 

-객체 안에 배열을 넣어 하나의 객체 안에 두 개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음

▷ 불러올 때에는 객체를 불러오기 위해 obj 작성 후 키 값과 배열의 위치를 작성해주면 됨.

▷ 단순히 b나 c라고만 적어주면 값이 아니라 배열 자체가 불러와지기 때문에 주의.

 

 

 

-배열 안에 객체를 넣을 수도 있음

▷ 배열 안에 객체가 있는 형태로 키값을 먼저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배열의 위치부터 작성한 뒤에 키값을 작성해야 함.

 

 

 

-객체 안에 변수를 저장 시킬 수 있음

▷ 데이터 값 안에 변수를 저장시킬 수 있음.

▷ a 대신에 변수가 저장된 형태로 키 값은 생략할 수 있음.

 

 

 

 

 

-함수를 포함시켜 실행문을 작성할 수도 있음

 

▷ d는 함수가 포함된 실행문이기 때문에 console.log를 작성하지 않음.

▷d는 키 값도 없기 때문에 obj.d ( )라고만 작성해주면 실행문이 출력됨.

 

 

 

 

 

 

  1. 이것을 연결 연산이라고 함 [본문으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