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01. map ( )

:콜백함수를 실행한 결과를 가지고 새로운 배열을 만들 때 사용한다.

모든 배열의 값에 함수를 실행하는 메서드 (Method)이다.

만약에 배열 안의 모든 값에 숫자를 추가하고 싶다면 map( )을 사용하여 추가할 수 있다.

forEach와 같은 구문이다.

 

 { const num = [100, 200, 300, 400, 500]
    num.map(function(el, i, a){
        document.write(el,"<br>")
        document.write(i,"<br>")
        document.write(a,"<br>")
        
    });
    const mapNum  = el;
    
    document.write(mapNum,"<br>")
}
더보기

100(el)

0 (i)

100,200,300,400,500 (a)

200 (el)

1 (i)

100,200,300,400,500 (a)

300 (el)

2 (i)

100,200,300,400,500 (a)

400 (el)

3 (i)

100,200,300,400,500 (a)

500 (el)

4 (i)

100,200,300,400,500 (a)

 

 

 

 

02. 익명 함수

: 함수에 변수 데이터를 저장하여 변수를 마치 함수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const func = function( ) {								//1
    document.write("실행되었습니다(2)");				//2
    }
 func( );												//3
}

 

1. const로 변수를 선언하고 변수 이름을 func로 설정해야 하며, 등호를 작성한다.

등호 뒤에는 function이 먼저 오지 않고 func = 뒤에 와야 한다.

 

2. 선언적 함수처럼 document.write( ) 안에 출력될 값을 작성해준다.

 

3. 익명 함수의 호출은 변수 선언 이후에 호출 해야한다.

 

 

 

03. 리턴 값 함수 (return 값 함수)

{
function func( ) {									//1
    const str =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				//2
    return str;										//3
    }
document.write(func( ));							//4
}

 

1. 선언적 함수처럼 fuction 뒤에 func(함수 이름)이 온다.

 

2. 익명 함수와 매개변수 함수처럼 변수를 선언하고 변수 이름을 str로 선언한 뒤, 변수 안에 화면에 출력될 값을 넣어준다.

 

3. return을 선언하고 변수 이름을 작성한다.

 

4. 출력문 뒤에 실행문을 적어주지 않고 출력문 "안에" 실행문을 작성한다.

 

 

 

04. while 문

:반복문의 일종으로 for문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
let num = 0;						//1

while(num<5) {						//2
    num++;                          //3
    document.write(num);     
}
}

:while문은 조건부터 체크한 후 조건이 참인 동안 문장을 반복하는 반복문이다.

조건이 거짓이라면 단 한 번도 실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1. for문처럼 변수를 먼저 선언한다.

 

2. while문의 ( )소괄호 안에 조건식을 작성한다. num<5라는 것은 5보다 작은 수까지 출력하겠다는 것.

즉, 4까지 출력하는 조건식이다.

 

3. 반드시 출력문 (document.write) "이후"에 증가식을 작성하여야 함.

출력문 이전에 증가식을 작성하면 값이 증가된 상태에서 출력되기 때문에 원하는대로 출력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05. for of 문

:반복 가능 자료에서 사용되는 반복문이다.

문자열이나 배열과 같은 반복 가능한 자료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
    const arr = [100, 200, 300, 400, 500];
            
    for(let i of arr) {                                 //타겟, 대상을 정해준 다음 그 값을 i라고 선언하는 것.
        document.write(i,",");
    }
}

 

: 출력해야 할 타겟(대상)을 정하여 변수로 선언해주어야 하며, 출력문에는 배열 이름이 아닌 선언한 변수 이름을 넣어주어야 한다.

배열 안의 값만 출력할 수 있다.

 

 

 

 

 

+ Recent posts